2022년 임신/출산 예정자라면 필독!🥳
강원도 원주시 기준 2022년 임신,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에 대해 알아보자
들어가기 전에...
올해 6월 30일 딸을 얻으면서 그 전후로 많은 지원제도나 육아 꿀팁을 공부했다.(물론 아내가 전달해준 정보가 더 크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나라 및 원주시에서 지원해주는 게 이것뿐만이 아닐 수 있음을 밝힌다. 소득 기준이나 결혼 여부 등에 따라서 지원금 수준이 상이할 수 있고, 이 포스팅에서 다루지 못한 지원금이 있다면 향후 내용을 보강하겠다. 이 포스팅을 통해 혹시나 놓친 지원금이 있다면 꼭 받아가시길 바라며, 가장 정확한 것은 내가 살고 있는 지역 행정복지센터(aka. 동사무소)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임신지원금(국가)
1.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이 부분은 사실 연초에 많이들 봤을 것이고, 연초에 임신하신 분들이라면(혹은 21년 연말에 임신하신 분들이라면) 신청하셨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원금은 임신 1회당 일 태아 100만 원(다태아 140만 원)이며, 모든 진료비 및 약제, 치료재료의 구입에 사용 가능하다.
바우처 형태이다 보니 결국 카드 발급이 필수(국민, 신한, 롯데, 우리 등 다양하다)이다. 신청은 방문신청과 온라인 신청이 있는데, 보통 임신 사실을 알게 되면 자연스럽게 지역구 보건소(철분제 등 영양제를 준다)나 주민센터(임산부 표시가 달린 스티커, 브로치 등을 준다)에 들르게 되는데, 이때 지원금 신청과 관련해서 자연스럽게 안내를 받게 된다. 어렵지 않다.
2.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사업(aka. 임산부 꾸러미)
매년 초에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이라 하여 총 구매 가능 금액 48만 원(보조 80%, 본인 부담금 20%) 월 4회 한도로 1회당 3만 원~10만 원 상당 주문이 가능(주문 금액의 50% 이상 농산물 구매 필수)한 제도이다. 정말 이건 숨어있는 개꿀 사업이라는 것이다. 다만 연초에 지역별로 배정된 인원 물량이 있는지 금방 마감이 되곤 한다. 2022년 9월 7일 기준, 신청 가능한 지역은 아래와 같다. 신청은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임신확인서만 첨부하면 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첨부 파일을 참고하길 바란다.
이 외에도 임신한 가족을 대상으로 많은 지원이 있을 거라 생각되지만, 내가 아는 선에서 총정리를 하면 여기까지다.
출산지원금(국가+강원도 원주)
1. 첫 만남 이용권(200만 원/바우처)_주민센터(출생신고 시)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첫 만남 이용권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기간은 아동 출생일(주민 등록일)로부터 1년이다. 유흥/사행/위생/레저/면세점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사용 가능하며, 본인은 산후조리원에서 다 사용해버렸다.
2. 가정양육수당(30만 원/계좌 입금)_주민센터(출생신고 시)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영아 수당으로 매월 30만 원을 지급하며, 지원기간은 0~23개월이다. 이후에는 양육수당 10만 원으로 자동 전환된다.(초등학교 입학 전달까지) 이후 어린이집/유치원에 가게 될 경우 보육료, 유아 학비로 변경 신청이 필요하다고 하나 아직 이 부분은 경험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3. 아동수당(10만 원/계좌 입금)_주민센터(출생신고 시)
월 10만 원씩 매달 지급되며, 만 8세 생일 포함된 달의 전달까지 지원한다.
4. 강원도 육아 기본수당(50만 원/계좌 입금)_주민센터(출생신고 시)
월 50만 원이 지급되며, 지원기간은 48개월까지고, 자녀의 부 또는 모가 강원도에 실거주(초본 확인) 1년 이상일 경우에 한하여 지급한다. 수당 자체가 금액이 좀 되다 보니 매년 출생월 전달에(우리 아이는 6월 생이니까 2023년 5월) 재신청을 해야 하고,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강원도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재신청할 수 있다.
5. 기저귀 바우처(6.4만 원/바우처)_주민센터(출생신고 시)/보건소/온라인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초생활보장, 차상위, 한부모가족 수급 가구의 영아,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의 장애인, 다자녀(2인 이상) 가구일 경우 지원한다. 3개월마다 3개월치(64,000원*3개월=192,000원)이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원된다. 아래는 본인이 받았던 안내장에 붙어있던 소득기준
6. 산후 건강관리(15만 원/?)_보건소
출산 산모 중 신청일 기준 강원도 내 6개월 이상 거주자일 경우 지원한다.(첫째 15만, 둘째 20만, 셋째 이상 30만) 출산 후 사용한 의료비 및 약제비를 지원해주는데, 우리 부부가 이용한 산부인과에서는 이 건강관리비 신청하라고 알아서 의료비 내역서를 뽑아서 주었다. 근데 유선통화를 해보니 출생신고를 한 당일에 바로 가서는 안되고, 가족관계 증명서/통장사본 등이 필요하다고 하여 방문하지 못했다.(지금도...)
7. (기타) 산모 출산 축하 지역 농/축산물_주민센터(출생신고 시)
쌀, 소고기, 미역 등이 2~3주 뒤에 택배로 오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농축산물이 온다.(원주는 토토미, 소고기는 원주 한우_국거리 위주 등) 아마 이 제도는 강원도 혹은 원주에서만 지원해주는 것 같다.
8. (기타) 한전 전기요금 감면
상한이 있으나 출산가구 대상으로 신청하면 승인을 해준다.
혹시... 지원금 신청은 했지만 아직 출산가방을 싸지 못했다면?
출산준비물 총정리(출산가방, 후기 포함)
출산준비물(출산가방)은 뭐가 필요할까? 출산가방에 무엇을 넣었고, 결국 이것들은 쓸모가 있었을까? 1. 짐가방을 싼 아내 퇴근하고 집에 오니 뭔가 가득 차 보이는 캐리어 가방을 발견했다. 그
nodong-genie.tistory.com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템 리뷰] 아오라 우주빔 후기(feat. 22개월 아기) (2) | 2024.05.01 |
---|---|
[용인 산후관리사 추천] 슈퍼맘 용인점 추천(후기 포함) (4) | 2024.04.18 |
출산준비물 총정리(출산가방, 후기 포함) (0)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