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HRA or PA

[독학/합격후기] ADsP(데이터분석준전문가)_인문 비전공

by 과부하중독러 2024. 4. 19.
반응형

왜 이 시험을 본 거죠?

내가 사내에서 담당하는 업무는 '공인노무사'의 업무에서 파생된 노사관계/직원 노무관리가 주가 된다. 노무관리 영역 중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과 같은 굵직한 고충 상담도 있지만 생각보다 가벼운 영역의 고충 역시 많이 상담하곤 한다. 그러면서 문득 든 생각..

 

'이걸 데이터화해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되게 나이브한 생각이었지만 이를 계기로 데이터화,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좀 더 실무적인 설루션 위주의 강의(인프런, 유데미, 패캠 등등)를 듣는 것도 방법이지만 우선 아예 데이터에 대해 아는 게 없으니 맛이라도 봐야겠다!! 생각해서 냅다 지른 게 바로 ADsP 되겠다.

 

퇴근하고 스터디카페(이때 처음으로 스터티카페를 처음 이용해 봤다)를 가며 짧지만 임팩트 있게 공부한 결과 아래와 같이 한 번 응시에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일단 합격 인증부터 한다

 

과목에 따른 점수 분포가 중요한가.. 어쨌든 합격만 하면 되는 시험이기 때문에 적당한 전략이 중요하다고 보면 되겠다. 아래는 짧은 시간 합격할 수 있었던 방법을 공유한다.

★★★추천방법. 미어캣 책+저자 유튜브 직강 활용

about 미어캣 책

사실 추천방법 1에서 끝난 거나 다름없다. 미어캣 책과 민트책이 후기에서 많은 비교글이 나왔는데 본인은 민트책을 보지 않은 관계로 미어캣 책 중심으로 추천 이유를 정리해 본다.

  1. 과목/목차의 수험적합적인 구분
  2. 핵심문제, 기출유형 문제의 구분(예제, 연습문제 정도의 느낌)
  3. 별도 별표 표시를 통한 난이도 구분
  4. 비문이 없고 가독성이 뛰어남
  5. 어플을 통한 문제 풀이 가능(본인은 사용 안 함) → 책 내에 있는 문제로도 충분

할 수 있다면 yes24 등을 통해서 '분철'해 받도록 하자.. 책이 두껍기에 넘기려면 분철만큼 편한 게 없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4409868

 

2024 이지패스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 예스24

2024년 ADsP 시험 합격을 위한 최신 기출문제 완벽 분석!총 1,445문항 압도적 문제 수 + 수험서 앱(22회차 기출 및 모의고사 수록) 제공!방대한 데이터 분석 콘텐츠를 ADsP 출제 경향에 맞게 컴팩트하게

www.yes24.com

about 저자 직강(필수 시청) : 전체 6~7시간 소요

저자 직강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나뉜다. 개인적으로는 왕초보 비전공자를 위한 특강을 듣고 책 전체 강의를 듣길 추천한다. 특히 책을 1독 하기 전에 내용을 들으면 공부할 때 어떤 내용을 공부해야 할지 감이 잡힌다.

 

① 미어캣 책 전체를 훑는 내용

- https://youtu.be/iwUYHUPwL30?si=qDipEYwBE0apKv1I

② 왕초보 비전공자를 위한 특강

- https://youtu.be/k2Yt1STulpk?si=rO6IXGvvdhhmcZQl 등 다수

 

합격 후 댓글 달고 따봉도 받았다

★★추천방법. (강의 시청 후) 회독 수 늘리기_현실적으로 3 회독(별표 많은 부분은 특히..)

암기가 필요한 비중은 1과목<2과목<<<3과목이라고 보면 되겠다. 1,2과목은 어느 정도 이해 베이스를 통해서 문제를 풀 수 있는데 3과목은 이해+암기가 필수적으로 따라온다.

 

이 공부 방법은 내가 노무사 공부를 할 때도 동일하게 사용한 방법인데 영단어를 외울 때 깜지를 쓰면서 외우는 것보다 자주 보고 자주 생각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렸다.. ADsP도 동일하리라 생각했다.

 

별표가 많은 부분은 회독 후 책을 덮어 연습장에 기억나는 대로 내용을 풀어서 적어가는 과정을 회독 외에 추가적으로 진행했다. 틀린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결국 이렇게 외운 부분들이 시험에 많이 나와 잘 외울 수 있었다.

 

★추천방법. (시험 당일) 전체 1 회독 + 별표 많은 부분 집중 재확인

 시험 당일에는 한 시간 정도(강의실 오픈 시간에 맞춰) 여유롭게 나와서 전체를 빠르게 1 회독 후 별표 부분은 계속 암기를 해주었다. 정말 이 부분들이 시험에 많이 나와 덕을 봤다.

마무리

이 시험에 투자한 시간은 총 14시간(7일) 정도 소요되었다. 생각보다 시간을 많이 투자할 만큼 깊이 있는 내용이 아니기도 하고 중요한 부분은 많긴 하지만 암기의 난도가 높지 않아 충분히 할 수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한다.

강의 시청 시간 6시간 + 3 회독(이해 못 하거나 맞추지 못할 부분은 과감하게 버림) + a의 시간  

 

이걸 끝으로 나 데이터분석 짱 잘한다! 고 할 수도 없고, 이걸로 시작했다고 볼 수도 없다. 이제 막 한 걸음 내디딘 느낌 정도지만 어쨌든 작은 성취를 이뤘다는 점에서 스스로에게도 대견하다고 느낀다. HR Analytics를 향한 여정을 시작해 본다.

반응형

댓글